today:
940
yesterday:
1,216
Total:
1,009,536

칼럼

< '종교 개혁의 아버지' 마틴 루터 >

Admin 2010.12.24 22:51 Views : 2121

 

< '종교 개혁의 아버지'  마틴 루터 > 


젊은 수도사인 마틴 루터(Martin Luther, 1483-1546) 가 비텐 베르크교회에 유명한 95개 조향을 붙였을 때, 그의 대담한 행동은 유럽 전역을 휩쓴 종교 개혁의 불길을 점화시켰다.

 

그러나 교회의 타락상을 거침없이 비판하고 오로지 그리스도 안의 믿음만이 중요하다고 선언했던 그는 용감한 사람도, 강인한 사람도 아니었다. 오직 하나님이 그를두려움과 공로를 극복할 수 있도록 도우셨고, 신성 로마 제국의 황제에게 도전할 수 있는 용기를 불어넣어 주셨다.

 

루터는 1483년 독일 작센 아이슬레벤에서 출생해 엄격한 부모에 의해 가톨릭신앙을 배웠다. 마크데부르크와 아이제나오에서 학교교육을 받았고 1505년 에르푸르트대학을 졸업하고, 다시 법학부에 진학했다. 그러나 그 해 여행 중 갑작스런 벼락에 놀라, 죽음의 공포를 느껴 수도사가 될 것을 맹세하고, 수도원에 들어갔다. 오캄주의의 신학교육을 받고, 1508년 당시 신설한 비텐베르크대학에서 일반교양과목을 가르쳤고, 12년 신학박사가 된 후 성서학을 가르쳤다.

 

그 동안 그는 마음의 평화를 얻을 수 없어 자신의 죄에 절망하지만, 오직 신앙에 의해서만 신으로부터 주어지는 <신의 뜻>을 발견한다. 이것이 종교개혁의 인식이라고하는 새로운 신학의 출발점이 된다. 이러한 인식을 바탕으로 하여, 성서를 강의하였고, 죄의 사면을 위해 제정된 고백성사(告白聖事)에 의문을 품었으며, 독일 작센지방에서 판매하기 시작한 교황의 면죄증서(면죄부)에 대해서 학문상의 토론을 할 목적으로, 1517년 10월 31일, 유명한 <95개조의 논제>를 당시 대학 게시판이기도 했던 비텐베르크성교회의 문에 게시했다.

 

이 논제는 순식간에 전독일에 퍼져 종교개혁운동의 발단이 되었다. 그가 소속된 수도회의 총회가, 18년 하이델베르크에서 열려 토론이 이루어졌는데, 아우크스부르크에서 교황의 사절인 카예타누스의 심문을 받고 이 95개조의 철회를 요구당하지만, 이를 거부하였다.

 

1519년에는 라이프치히에서 신학자 에크와의 토론에서 교황도 과실을 범할 수 있음을 주장하였기 때문에, 로마가톨릭과 결별하였고, 20년 교황으로부터 파문칙령을 받았으나 태워버렸다.

 

1521년 보름스국회에 소환되어 추방처분을 받았다. 그러나 작센 선제후(選帝侯)의 도움으로 바르트부르크성(城)에 숨어, 급진혁명가의 소요를 누르고 복음주의교회의 확립에 노력하였다. 특히 마르부르크회담에서는 성찬에 대해 일치를 얻지 못하고, 스위스 종교개혁자 츠빙글리와도 결별함으로써 프로테스탄트동맹의 꿈이 깨졌다.

 

루터는 최후까지 설교·강의·권고·저술에 종사하고 귀족들의 분쟁화해를 위해 고향으로 내려갔으며 그곳에서 병으로 죽는다.

No. Subject Views Date
42 < 5만번 응답받은 죠지 뮬러 > 1862 2010.12.24
41 < '마태수난곡' 의 요한 세바스챤 바하 > 1915 2010.12.24
40 < 설교의 황태자, 찰스 스펄전 > 1949 2010.12.24
39 < 탁월한 옥외설교가 조지 휫필드 > 2012 2010.12.24
38 < 산돌, 손양원 > 2074 2010.12.24
37 < 중국 선교의 아버지 '허드슨 테일러' > 2335 2010.12.24
36 존 웨슬리 (John Wesley) 1991 2010.12.24
35 < 부패한 사회를 개혁한 영국의 양심, 윌리암 윌버포스 > 2009 2010.12.24
34 < 영혼을 사랑했던 인디언 선교사, 데이비드 브레이너드 > 2109 2010.12.24
33 < 아프리카를 사랑한 개척 선교의 시조, 데이빗 리빙스턴 > 2033 2010.12.24
32 < 모라비안 경건주의의 아버지 진젠도르프 > 2295 2010.12.24
31 < 자비량 선교의 시조 윌리암 캐리 > 2266 2010.12.24
» < '종교 개혁의 아버지' 마틴 루터 > 2121 2010.12.24
29 < 학생 복음 운동의 조상, C.T 스터드 > 2170 2010.12.24
28 < 한국을 사랑한 그리스도의 대사 헐버트 > 2774 2010.12.24
27 일제의 신사참배에 항거, 순교한 소양 주기철(朱基徹) 2096 2010.12.24
26 버마인들의 영적 아버지 아도니람 져드슨 2050 2010.12.24
25 영국의 선구적 종교 개혁가 존 위클리프 2113 2010.12.24
24 죠나단 에드워드 Jonathan Edwards) 2480 2010.12.24
23 Christmas Food Court Flash Mob, Hallelujah Chorus - Must See! 2087 2010.12.31
22 함께 기도 해 주실분들을 찾습니다.-[멕시코] 마약 폭력으로 어려움을 겪는 멕시코 선교 2866 2010.12.17
21 지성의 7가지 프리즘 2257 2010.12.15
20 나눔, 세상을 보듬는 하나님의 손길- [CGN칼럼] 최원준 2456 2010.12.13
19 더불어 함께 사는 세상을 위하여 -김희연 2056 2010.12.11
18 사랑하면 길이 보인다 -이재환(온누리세계선교훈련원 대표) 2345 2010.12.11
17 우리가 소망하는 기독교학교는? 2028 2010.12.09
16 허각을 택한 우리시대의 문화심리 2564 2010.12.09
15 로버트 박, '한국교회 회개해야' 2059 2010.12.08
14 하용조 목사 "나눔 없었던 것 회개하자" 2450 2010.10.21
13 [이웃] 국민일보 선정 아름다운 교회길(1) 2171 2010.09.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