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day:
12
yesterday:
242
Total:
1,004,170

칼럼

1400년간 수니파와 시아파가 싸우는 이유는?

Admin 2013.08.04 19:49 Views : 2501

9263868e-fa02-11e2-b8ef-00144feabdc0.jpg

 

시리아 종파 분포도.jpg

 

 

시리아 내전으로 인해 중동 전역이 국경을 넘어선 종파 간 전장(戰場)으로 변할 지도 모른다는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고 영국 일간 파이낸셜타임스(FT)가 31일 보도했다. 시리아에서는 2011년 3월 이후 알라위파(시아파 분파)인 정부군과 수니파가 주축이 된 반군 사이에 치열한 종파 전쟁이 벌어지고 있다.


7월까지 시리아 내전으로 발생한 사망자 수는 10만명을 넘었다고 유엔이 밝혔다. 현재 국내 난민은 400만명, 국외 난민은 180만명에 이른다. 다마스쿠스·홈스·알레포 등에서는 연일 격전이 벌어지고 있어 언제 전쟁이 끝날 지 알 수 없는 상황이다. 시리아 내전과 비슷한 시기(2011년 2월)에 발발한 리비아 내전은 그해 10월 무아마르 카다피 전 리비아 국가원수가 사살되면서 8개월여만에 일단락됐다. 리비아와 달리 시리아 내전이 이처럼 장기전 양상을 보이는 것은 중동 지역 수니파·시아파가 내전에 뛰어들어 서로 힘 대결을 벌이고 있기 때문이다.


현재 바샤르 알아사드 정권은 레바논 시아파 무장정파 헤즈볼라·이란·이라크 시아파 등이 지원하고 있다. 반군은 사우디아라비아·터키·카타르·아랍에미리트(UAE) 등 수니파 국가와 이라크알카에다지부(AQI)·파키스탄 탈레반(TTP)을 비롯한 수니파 원리주의 무장단체가 지원한다. 양 측은 시리아가 한 쪽으로 넘어갈 경우 중동 지역 내 힘의 균형이 깨질 수 있다는 우려 때문에 총력전을 펼치는 중이다.


특히 수적으로 열세인 시아파는 이번 전쟁에 사활을 걸고 있다. 당초 시아파 맹주 이란은 레바논-시리아-이란으로 형성된 기존 ‘반미(反美) 시아파 벨트’에 2003년 이후 시아파 정권이 들어선 이라크를 추가하겠다는 구상을 하고 있었다. 시리아가 수니파에게 넘어갈 경우 이 구상이 물거품이 될 뿐 아니라 레바논까지 잇는 육로가 끊기게 된다. 이 때문에 지난 6월 이란의 지원을 받은 헤즈볼라가 전격적으로 내전에 개입했고 그 결과 정부군이 전투를 우세하게 이끌고 있다.


중동에서 수니파와 시아파의 싸움은 1400여년간 지속돼왔다. 이슬람교를 창시한 예언자 무함마드(570~632년) 사후 ‘누가 이슬람 공동체 지도자로 무함마드를 계승하느냐’는 문제를 놓고 이슬람 내부에서 분열이 일어났다. 수니파는 선출로 칼리프(종교지도자)를 뽑아야 한다는 입장이고, 시아파는 무함마드의 사촌동생인 알리가 후계자가 되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후 정통성을 둘러싼 피비린내 나는 전투가 이어지면서 양 측은 완전히 갈라섰다. 12세기 쿠르드족 출신인 술탄 살라딘이 십자군과 전쟁을 하는 과정에서 양 측간 통합을 이룬 것을 제외하면 둘은 끝을 알 수 없는 전쟁을 해왔다.


이 연장선상에 시리아 내전이 놓여 있다. 시리아 인구 중 알라위파는 14.7%, 수니파는 73%를 차지한다. 다수인 수니파는 권력을 잡고 있는 알라위파를 끌어내리고 언젠가는 권력을 쟁탈하겠다는 야심을 키워왔다. 1982년 중부 하마에서 수니파가 대규모 폭동을 일으키자 당시 하페즈 알아사드(바샤르 아버지)는 약 2만명을 살해하며 폭동을 진압하기도 했다.


테러 전문가 토머스 헤그해머는 지난 6월 포린 어페어스에 기고한 글에서 “머지 않아 시리아 내전이 중동 전역에서 전면적인 종파 분쟁으로 변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실제로 이웃 이라크에서는 시리아 내전으로 인해 양 측간 충돌이 격렬해지면서 지난 4개월간 3000명이 숨지고 7000명이 다쳤다. 또한 최근 이란이 대(對)이스라엘 문제에서 같은 노선을 취했던 팔레스타인 수니파 무장정파 하마스에 대한 지원을 끊는 등 종파 간 편가르기는 더욱 뚜렷해지고 있다.

/김강한 기자 kimstrong@chosun.com

 

 

*중동에서 수니파와 시아파의 싸움은 1400여년간 지속돼왔다. 이슬람교를 창시한 예언자 무함마드(570~632년) 사후 ‘누가 이슬람 공동체 지도자로 무함마드를 계승하느냐’는 문제를 놓고 이슬람 내부에서 분열이 일어났다. 수니파는 선출로 칼리프(종교지도자)를 뽑아야 한다는 입장이고, 시아파는 무함마드의 사촌동생인 알리가 후계자가 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후 정통성을 둘러싼 피비린내 나는 전투가 이어지면서 양측은 완전히 갈라섰다. 12세기 쿠르드족 출신인 술탄 살라딘이 십자군과 전쟁을 하는 과정에서 양측간 통합을 이룬 것을 제외하면 양측은 끝을 알 수 없는 전쟁을 해왔다. 현재 사우디아라비아가 수니파 맹주를, 이란이 시아파 맹주를 자처하고 있다. 1979년 이란에서 이슬람 혁명이 일어나 이란이 시아파 신정(神政)국가가 된 이후 두 국가는 중동에서 주도권 싸움을 벌이고 있다.

◇중동 주요 국가 종파 비율

시리아(2200만명): 수니파(73%), 시아파(알라위·14.7%)
이란(7500만명): 수니파(10.8%), 시아파(86.7%)
레바논(400만명): 수니파(24.3%), 시아파(46.8%)
이라크(3100만명): 수니파(32.3%), 시아파(63.2%)
터키(7200만명): 수니파(80.1%), 시아파(19.6%)
사우디아라비아(2900만명): 수니파(52%), 시아파(25%)
아랍에미리트(UAE·540만명): 수니파(80%), 시아파(16%)
카타르(200만명): 수니파(71%), 시아파(10%)

 

출처: 김강한 님의 블로그

No. Subject Views Date
252 영분별의 원리 10가지 2186 2013.04.06
251 세상에서 가장 아름다운 감동이야기 - 몽그리 100번째 손님 2182 2011.05.17
250 [이웃] 국민일보 선정 아름다운 교회길(1) 2171 2010.09.30
249 < 학생 복음 운동의 조상, C.T 스터드 > 2168 2010.12.24
248 [시] 고난의 텃밭 2136 2011.10.14
247 Do You Desire God - Paul Washer(하나님을 갈망하십니까 - 폴 워셔) 2130 2011.10.24
246 당신에게는 꿈이 있습니까? 2124 2011.08.10
245 < '종교 개혁의 아버지' 마틴 루터 > 2119 2010.12.24
244 [기도의 사람_아브라함 링컨 ] 2113 2011.05.16
243 영국의 선구적 종교 개혁가 존 위클리프 2113 2010.12.24
242 The Good Mother (2010) 2111 2011.05.18
241 < 영혼을 사랑했던 인디언 선교사, 데이비드 브레이너드 > 2105 2010.12.24
240 감당할 수 없는 슬픔 그리고 하나님의 은혜 | JoeyDad 2103 2011.06.29
239 일제의 신사참배에 항거, 순교한 소양 주기철(朱基徹) 2094 2010.12.24
238 탁월한 복음주의 지도자 존 스토트(John Stott) 소천하다- 이동희 기자 ⓒ뉴스미션 2091 2011.08.15
237 Christmas Food Court Flash Mob, Hallelujah Chorus - Must See! 2084 2010.12.31
236 기독교 영화 " 이층집 남자" 2076 2011.08.02
235 배우자에게 해서는 안되는 말. 2075 2011.06.20
234 칩 잉그램의 부부회복세미나 I - 행복한 부부생활을 막는 장애물들 2074 2011.09.06
233 < 산돌, 손양원 > 2071 2010.12.24
232 아름다운 선택 | 김철민 2067 2011.06.29
231 로버트 박, '한국교회 회개해야' 2059 2010.12.08
230 마음의 병, 그림으로 치유 2056 2011.06.19
229 더불어 함께 사는 세상을 위하여 -김희연 2056 2010.12.11
228 고구마 전도왕 김기동 집사님 전도 간증 2054 2011.09.13
227 버마인들의 영적 아버지 아도니람 져드슨 2049 2010.12.24
226 소프라노 문혜원의 해설이 있는 오페라 <I LOVE OPERA> 2037 2011.07.06
225 어디를 향해 달리는가 ? -온누리 :마음으로읽는글 2033 2011.10.03
224 한국의 대표 성지 순례코스, 양화진… 아펜젤러·언더우드 첫 기도는 묘비에 생생 2030 2010.09.30
223 바울 이후 신학을 가장 잘 집대성한 어거스틴 2029 2010.12.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