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day:
154
yesterday:
242
Total:
1,004,312

[Health Section]

This Section is created to help anybody who is interested in health to obtain and share information.  We are constantly updating new information and looking for various ways to improve the site in order to accommodate your needs.  Your feedback and suggestions are very valuable.  Please visit us often to see what has changed. 

 

꼭 알아야 할 유방암 상식

감사또감사 2014.12.15 07:26 Views : 390

여자라면 누구도 안심할 수 없는 유방암, 꼭 알아야 할 유방암 상식

선진국형 질병이라고 불리는 유방암(breast cancer)은 비만, 모유 수유의 감소, 식습관의 서구화 등이 원인이 되어 세계적으로 많은 여성에게 생기고 있는 병이다. 특히 우리나라에서는 여성 암 발병률 1위를 차지하고 있다. 또한, 미국의 유방암 환자는 대다수가 폐경 이후의 환자들이 많지만, 한국인은 54.7%의 환자가 50세 미만의 젊은 환자라는 특징이 있다.

유방암 발생률이 해마다 꾸준히 증가하고 있는 만큼 유방건강에 대한 여성들과 사회적인 관심이 필요한 시점이다. 조기에 발견하면 95% 이상 완치를 기대할 수 있는 유방암, 여성이라면 누구도 안전할 수 없는 유방암에 대해 꼭 알아야 할 상식을 알아보자.

◆ 꼭 알아야 할 유방암 상식 5

01. 유방암은 무엇이며 어떤 사람에게 발생할까?

유방에 몽우리가 만져지는 3대 질환은 섬유선종, 섬유낭종성 병변, 유방암으로 앞의 두 가지는 흔한 유방의 양성 질환이며 유방에 몽우리가 잡혀 병원을 찾는 환자의 90%가 이 두 질환에 해당한다. 하지만 유방암은 유방 내에만 머무는 양성 종양과 달리 유방 밖으로 퍼져 생명을 위협할 수 있는 악성 종양이다.

외부의 발암물질 노출에 의한 dna 변형으로 발생하기도 하고, 유전적 요인, 에스트로겐이라는 호르몬이 유방암 발생 위험을 증가시키는 요인으로 제기되고 있다. 또한, 이외에도 출산경험이 없거나 30세 이전에 첫 출산을 한 사람, 비만이나 동물성 지방을 과잉 섭취한 사람, 지속적인 유방 문제나 자궁내막, 난소 등에 악성 종양이 있었던 사람 등이 유방암의 위험요인이 된다.

02. 유방암을 의심할 수 있는 증상과 징후는?

유방암은 환자의 약 80%는 우연히 자신의 유방이나 겨드랑이에서 덩어리가 만져짐을 느끼면서 병을 발견하게 된다. 유방암의 초기에는 아무런 통증이 없고, 잘 움직이며 주위와 경계가 명확하게 구별되는 종괴가 만져지는 경우가 보통이다. 또한, 갑자기 유두가 아프거나 지속해서 가슴에 압통이 있는 경우△유두 함몰△유방 피부색 변화△유방 전체가 붓거나 가슴 표면에 혈관이 두드러지게 보이는 증상 등이 생기면 바로 병원을 찾아 전문의의 진료를 받아야 한다.

03. 유방암은 반드시 유방을 절제해야 하나요?

유방암 치료의 기본은 유방 수술이다. 진행된 유방암일 경우 보조적으로 항암제 투여가 필요하며 필요에 따라 여성 호르몬이 유방을 자극하는 것을 차단하는 호르몬 치료가 병행되기도 한다.

초창기 유방암 수술은 유방뿐만 아니라 주위의 피부 및 흉근도 같이 제거하는 광범위 수술한 수술이 대부분이었으나 최근에는 유방암 병소 부위만 제거하고 나머지 유방 조직은 방사선 치료로 진행하며 점차 수술범위를 줄이려는 추세다. 또한, 기술력이 발달하여 환자들 모두에게 같은 치료법이 적용되지는 않으며, 종양의 종류, 위치 및 크기, 임파절 전이 여부 등에 따라 다양한 수술법과 다양한 약제들을 선택하여 치료하고 있다.

04. 유방암의 치료 후 예후는 어떤가?

유방암은 조기에 발견할 경우 비교적 치료가 잘되는 암이다. 치료 후 5년 생존율이 평균 76% 정도이고, 특히 0기 암(상피내암)이나 1기 암의 경우는 90~100%의 5년 생존율을 보이고 있다. 과거에는 조기에 발견되는 암의 비중이 작았지만, 최근에 조기 검진에 대한 사회적인 관심이 높아지면서 조기에 발견되는 비중이 높아져 수술도 유방의 모양을 보존할 수 있는 유방보존술의 비중이 높아지고 있다. 유방 보존술은 안전하고 권장할 만한 치료 방법이지만, 조기암의 경우만 해당해 적용할 수 있는 대상에 제한이 있으므로 조기 발견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05. 유방암 조기발견을 위해서 어떤 노력이 필요한가?

유방암을 조기에 발견하기 위해서는 매달 월경이 끝난 후 1~2일에 유방을 만져보며 자가 검진을 습관화 하는 것이 좋다. 본인이 직접 자신의 유방을 만져보는 이 검사는 가장 간단하고, 비용이 들지 않는 가장 쉬운 검사 방법이다. 처음에는 숙련이 필요하지만, 자가검진으로 자신의 유방 모양과 촉감에 익숙해지면 젖멍울과 구별되는 종괴를 찾기 쉬워 진다.

또한, 35세 이후 여성들은 정기적으로 의사의 진찰을 받고 정기적으로 유방촬영과 유방 초음파 검사를 해보는 것도 도움된다. 유방 촬영은 만져지지 않는 유방암을 발견하는데 가장 예민한 검사이며, 유방 촬영술에서 발견된 멍울을 정밀하게 검사하는 유방 초음파는 고밀도 유방인 경우 숨어 있는 병변의 검사에 매우 유용하게 이용된다.


(※ 외부필자의 원고는 chosun.com의 편집방향과 일치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No. Subject Date Views
190 “손톱 발톱 색깔을 보세요”…나의 건강을 알 수 있습니다 2015.03.30 977
189 소변본 5분 후 '거품' 남았다면 콩팥이 망가진 신호? 2016.02.13 945
188 강황,귀리,녹차,마늘,브로콜리,콩 2017.09.12 923
187 7년간 계속된 반도체-백혈병 논란은? - 삼성 공식 사과로 마무리 2014.05.14 885
186 크랜베리 2017.09.12 875
185 당뇨병(3) 2014.05.20 864
184 ‘젊은 당뇨’ 10명 중 1명 당뇨망막증 2015.01.08 862
183 포도 2017.09.12 802
182 자가 진단 2014.09.01 793
181 ‘밀가루’가 이럴수가! 세가지만 알고 먹어요! 2014.11.10 777
180 브로콜리의 효능 2014.06.18 776
179 대표적 길거리 음식 '닭꼬치'…진짜 닭고기일까? 2014.09.09 760
178 "모기 물린 데 침 바르지 마세요"...여름철 봉와직염 주의 2014.07.22 756
177 부부는 잠을 잘 때 왜 붙어서 자야 하는가? 2014.08.31 755
176 한국인 라면 섭취 세계 1위…여성에 더 해롭다? 2014.09.07 751
175 대사증후군 5명중 1명 “무증상 심장혈관이상” 2014.07.31 748
174 “한국, 치매 환자가 가장 빨리 늘어날 국가” 2015.01.26 729
173 소 간 날로 먹으면 눈에 기생충 감염 위험 높아 2014.08.05 722
172 '침대 초미세먼지' 폐질환 위험 크게 높인다…흡연보다 위험 2014.09.10 722
171 생강의 효능 '신이 내린 정력제'라는데… 어떻게 먹나? 2014.11.02 711
170 "여성 당뇨환자, 뇌졸중 발생 위험 2.3배 높아" 2014.07.07 709
169 건강한 발효식품 된장의 종류 2014.07.28 703
168 고구마, 껍질째 샐러드 만들고... 2014.06.18 700
167 에볼라 공포 확산…세계보건기구, '비상사태 선포' 검토 2014.08.04 691
166 간이 건강하지 못하다는 신호 20가지 2014.09.05 689
165 안구건조증 치료법 2014.09.06 687
164 '치사율 90%' 에볼라 바이러스, 어떻게 감염되는 걸까? 최윤아 기자 | 사회 2014.08.02 679
163 10월의 제철음식… 땅콩, 단감 또? 2014.09.29 676
162 “고지방 저탄수화물, 다이어트에 더 효과” 2014.09.12 672
161 내 몸의 시한폭탄 - 대사증후군 2014.09.14 67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