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day:
59
yesterday:
242
Total:
1,004,217

칼럼

로버트 박, '한국교회 회개해야'

Admin 2010.12.08 05:40 Views : 2059

북한에 40일간 억류됐다.

풀려난 북한인권운동가이자

선교사인 로버트 박을
CGN투데이가 만나봤습니다.
북한의 복음화를 위해

한국교회가 하나돼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신용상 기자가 만났습니다.

 

[리포트]

 

북한인권운동가이자 선교사인 로버트 박은

심한 후유증 속에서도 건강을 찾아가고 있었습니다.  

무모하고도 어리석은 행동이라는 사람들의

 비난 여론에 대해서

그는 북한 주민들의 고통에 동참하고

북한 복음화를 위한 비전을 가지고

입북했음을 강조했습니다.

 

[인터뷰] 로버트 박 / 선교사

 

" 마태복음 25장에 보면 감옥에 갇히고, 굶주리고,

병든 사람들을 위해 하나님께서 일을 행할 것이고

결국 마지막 날 모두 영접하게 되는 내용이 나옵니다.

그 말씀을 붙잡고 북한에 가기로 결정했습니다."

 

성경책을 가슴에 품과 순교할 각오로 건너간

북한의 인권유린의 실상은 참혹했습니다.

무자비한 고문과 폭력은

그의 신념을 뒤흔들 만큼 가혹했습니다.

입막음을 위해 성적 고문까지 자행했습니다.

생명의 위협 속에 그는 북한을 향한

예수님의 사랑을 전하며

북한의 변화를 위해 소리 높였습니다.

 

[인터뷰] 로버트 박 / 선교사

 

" 북한에서 저를 죽인다고 위협했습니다.

하지만 두려워하지 않고 저를 죽인다면

하나님 나라가 더 확장될 것이고

저는 천국 가기 때문에 괜찮다고 말했습니다.

또한 제가 죽는다면 크리스천들이 북한선교 부흥을 위해

더 빨리 일어나기 때문에

오히려 죽여 달라고 호소했습니다.

그 후 북한 수용소 사람들이

혼란스러워하기 시작했습니다."

 

지난 2월 북한에서 풀려난 뒤

미국에서 후유증 치료를 받는 동안에는

자살까지 생각할 만큼

고통의 시간을 지냈다고 털어놨습니다.

절망 속에서 하나님은 말씀을 통해

새로운 희망과 용기를 부어주셨습니다.

 

[인터뷰] 로버트 박 / 선교사

 

" 미국으로 다시 돌아와 자살하고 싶을 만큼

너무 힘들었습니다. 하지만 병원에 있는 동안

하나님께서 제가 다시 일어서기를 원하셨습니다.

그 후 말씀과 기도를 통해서 회복됐습니다."

 

그는 지난달 북한인권의 실상을 알리기 위해

한국에 들어왔습니다.

한국교회와 함께 북한의 변화와 복음화를

이끌어내기 위해섭니다.

 

특히 북한인권 문제 해결을 위해서는

한국교회가 하나돼야 한다며

만약 한국교회가 북한인권에 침묵한다면

나치의 홀로코스트 학살을 묵인한

독일교회와 같이 생명력을

잃을 수 있다고 강조했습니다.

 

또 북한을 위해 전략적으로 기도하고

탈북자 지원에도 적극 나서야 한다고 지적했습니다.

 

[인터뷰] 로버트 박 / 선교사

 

" 한국교회는 교회 안에만 갇혀 있고

우리가 하고 싶은 것만 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한국교회는 북한 인권 운동을

입증할만한 것이 없습니다.

그것은 부끄러운 일입니다."

 

인권운동가인지 아님 선교사인지에 대한 질문에

그는 북한의 영혼을 위해

기도하고 실천하는 작은 크리스천이라고 말했습니다.

 

박씨는 북한인권개선과

통일후의 북한 복음화를 위해

남은 인생을 바치겠다고 밝혔습니다.

 

CGN투데이 신용상입니다. mylove9200@cgntv.net

No. Subject Views Date
42 < 5만번 응답받은 죠지 뮬러 > 1862 2010.12.24
41 < '마태수난곡' 의 요한 세바스챤 바하 > 1913 2010.12.24
40 < 설교의 황태자, 찰스 스펄전 > 1946 2010.12.24
39 < 탁월한 옥외설교가 조지 휫필드 > 2007 2010.12.24
38 < 산돌, 손양원 > 2071 2010.12.24
37 < 중국 선교의 아버지 '허드슨 테일러' > 2334 2010.12.24
36 존 웨슬리 (John Wesley) 1990 2010.12.24
35 < 부패한 사회를 개혁한 영국의 양심, 윌리암 윌버포스 > 2006 2010.12.24
34 < 영혼을 사랑했던 인디언 선교사, 데이비드 브레이너드 > 2105 2010.12.24
33 < 아프리카를 사랑한 개척 선교의 시조, 데이빗 리빙스턴 > 2029 2010.12.24
32 < 모라비안 경건주의의 아버지 진젠도르프 > 2294 2010.12.24
31 < 자비량 선교의 시조 윌리암 캐리 > 2264 2010.12.24
30 < '종교 개혁의 아버지' 마틴 루터 > 2119 2010.12.24
29 < 학생 복음 운동의 조상, C.T 스터드 > 2168 2010.12.24
28 < 한국을 사랑한 그리스도의 대사 헐버트 > 2768 2010.12.24
27 일제의 신사참배에 항거, 순교한 소양 주기철(朱基徹) 2094 2010.12.24
26 버마인들의 영적 아버지 아도니람 져드슨 2049 2010.12.24
25 영국의 선구적 종교 개혁가 존 위클리프 2113 2010.12.24
24 죠나단 에드워드 Jonathan Edwards) 2479 2010.12.24
23 Christmas Food Court Flash Mob, Hallelujah Chorus - Must See! 2084 2010.12.31
22 함께 기도 해 주실분들을 찾습니다.-[멕시코] 마약 폭력으로 어려움을 겪는 멕시코 선교 2866 2010.12.17
21 지성의 7가지 프리즘 2257 2010.12.15
20 나눔, 세상을 보듬는 하나님의 손길- [CGN칼럼] 최원준 2456 2010.12.13
19 더불어 함께 사는 세상을 위하여 -김희연 2056 2010.12.11
18 사랑하면 길이 보인다 -이재환(온누리세계선교훈련원 대표) 2345 2010.12.11
17 우리가 소망하는 기독교학교는? 2027 2010.12.09
16 허각을 택한 우리시대의 문화심리 2563 2010.12.09
» 로버트 박, '한국교회 회개해야' 2059 2010.12.08
14 하용조 목사 "나눔 없었던 것 회개하자" 2450 2010.10.21
13 [이웃] 국민일보 선정 아름다운 교회길(1) 2171 2010.09.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