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day:
51
yesterday:
251
Total:
1,111,985

칼럼

 
보통 우리가 “저 애는 참 똑똑하다,” 혹은 “수재다”라고 할 때 정확하게 어떤 기준으로 말하는 것일까요?

아마, 학교 성적이 뛰어난 아이를 가리키는 말일 텐데, 우리나라 중, 고등학교는 외국에 비해 과목이 훨씬 많고 다양하기로 유명합니다. 그러나, 그 중에서도 역시, 영어와 수학 (요즘은 컴퓨터 실력까지)에 가장 큰 비중을 두는 것 같습니다.

그래서, 예능과 체육, 또 다른 과목들에서 아무리 발군의 실력을 보이는 아이라도 이 메인 게임에서 두각을 나타내지 못하면 똑똑치 못한 아이로 인식되기 쉽습니다. 자, 그러나 인간의 지성을 평가하는 기준이 과연 이렇게 단순한 것일까요?

1983년, 미국 하바드의 교육 대학원 교수 하워드 가드너(Howard Gardener)는 인간에게는 “7가지 지성 (Seven Kinds of Intelligence)"이 있다고 주장함으로써, 세계 교육계에 큰 파장을 일으켰습니다. 그때까지만 해도 미국도 학생들의 지능을 평가할 때 주로 IQ 테스트나 학교 시험 성적을 획일적인 잣대로 사용하곤 했었는데,

가드너의 새로운 이론은 이 기존의 개념을 완전히 뒤엎어 버렸습니다. 그가 말한 7가지 종류의 지성들은 다음과 같습니다.

첫째는, 언어적 (linguistic) 지성으로서, 단어와 문장의
의미, 역할, 소리, 리듬을 조화시켜 구사하는 언어 감각 능력을 말합니다.

둘째는 음악적(musical) 지성으로서, 소리의 크기와 변화, 리듬과 피치의 흐름을 이해하고, 그것을 재현해 낼 수 있는 능력입니다.

셋째는, 논리적--수학적 (logical-mathematical) 지성으로서 숫자를 다루고, 숫자의 패턴과 작용, 과학적 능력과 객관적인 사고 능력을 의미합니다.

넷째는, 공간적 (spatial) 지성으로서 그림을 그리고, 3차원적 물체들을
이해하고 제작하는 능력이며, 예술적인 터치 혹은 엔지니어링 감각을 말합니다.

다섯째는, 신체적 (bodily) 지성으로서 몸의 각 부분의 균형을 잡으면서 유연하고 빠르게 움직일 수 있는 능력, 즉 쉽게 말해서 운동신경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여섯째는 대인관계적(interpersonal) 지성으로서 다양한 성격의 사람들을 여러 가지 상황 속에서 대할 때, 그들의 감정이나 의도, 목표를 잘 파악하여 적절하게 대처할 수 있는 기술이라고 하겠습니다.

그리고 마지막 일곱째는 내면적 (intrapersonal) 지성으로서, 자기 자신의 감정과 생각을 차분히 정리하며 명상할 수 있는 철학적 능력입니다.

7가지 지성에 대한, 가드너의 이론은 사람마다 하나님께 받은 은사가 다름을 강조하는 성경의 가르침과 일맥상통하는 바가 있습니다. 모든 사람을 각각 다른 각도에서 보면 다 탁월한 점들이 있는데, 그 시대의 문화나 가치관이 중시하는 한 분야에 떨어진다고 해서 그 아이가 열등생일 수는 없는 것입니다.

독수리가 하늘을 나는 데는 제왕이지만 수영은 오리보다도 못 하지 않습니까? 우리는 팔방미인이 될 것을 강요하지만, 사람이 모든 것을 다 잘 할 수는 없는 것- 누구든지 하나님께서 자기에게 주신 특유의 은사를 잘 개발할
수 있도록 해 주는 것이 교육일 것입니다. 즉, 장점을 칭찬해 주고 극대화 시켜주려는 생각을 해야지, 자꾸 단점만 지적하고 고쳐 주려고 하면 아이들이 쉽게 자신감을 잃어 버려 모든 면에 의욕을 상실하기 쉽다는 것입니다.

시대와 문화의 트렌드가 급속도로 변화하면서 이 7가지 지성 중에서 과거엔 별 주목을 받지 못하다가 현재와 미래에 갑자기 스포트라이트를 받게 된 것들이 있습니다. 예를 들어, 점차 서비스 사회가 되어 가면서 대인관계적 지성의 중요성이 갈수록 부각되고 있으며, 컴퓨터 비쥬얼 아트와 애니메이션, 산업 디자인의 중요성이 부각되면서 공간적 지성을 가진 이들이 어디서나 요구되고 있습니다.

그러므로, 너무 시대의 트렌드에 아이들을 억지로 끌어 맞추려 하지 말고, 아이가 갖고 있는 특기를 키워주면서 다른 모든 지성들에 대한 균형적인 발전을 장려해 줘야 될 것입니다. 왜냐하면 시대의 트렌드는 늘 변하는 것이기 때문에 앞으로는 어떤 분야의 지성들이 또 중점적으로 요구될지 모르기 때문입니다.

즉, 전문성을 키운다고 해서, 7가지 지성 중에 한두 가지만 열심히 하고 다른 모든 것들은 은사가 아니라고 도외시해선 안 된다는 것입니다. 자기가 재능 있는 분야를 집중해서 키운다고 할지라도,

다른 분야의 지성들도 기본적인 수준은 폭넓게 커버하는 균형 감각이 필요합니다. 한 예로, 외국의 많은 저명한 스포츠 코치들은 한국에서는 운동하는 아이들은 운동만 시키고 공부를 끝까지 안 시키는 것에 대해 아주 심각하게 경고합니다. 골프 같은 경우도 어떤 경지에 올라가면 거기서부턴 단순한 기교 싸움이 아닌 두뇌와 체력, 감성적 자기 통제 능력이 승패의 관건이 되므로, 폭넓게 공부하고 전인격적으로 다듬어진 사람만이 살아남을 수 있다는 것입니다.

그래서 그런지 미국의 많은 프로 골퍼들은 동양 철학 책 같은 것들을 탐독하며 정신 무장을 한다고 합니다.

인생에서 7가지 지성 중의 한 두 개만 가지고는 해결할 수 없는 복잡한 일들이 너무 많습니다. 인생은 모자이크 조각처럼 다 연결되어 있어, 7가지 지성들을 어느 정도까지는 균형 있게 섭렵하는 것이 필요한 것입니다.

그러나, 하워드 가드너는 이 7가지 지성이 다 커버하지 못하는 어떤 인간 내면의 깊은 지성이 있다는 여운을 남겼습니다. 이 7가지 지성을 밑에서 받쳐주는 토대와 같고, 하나로 묶어주는 접착제와 같으며, 심포니를 이뤄내는 지휘자와 같은 지성 말입니다.

가드너의 논리를 바탕으로 해서 또 하나의 충격적인 교육 지침서를 쓴 교육가 토마스 암스트롱(Thomas Armstrong)은 이것을 “도덕적 혹은 영적인 지성 (moral / spiritual intelligence)"이라고 불렀습니다. 아무리 똑똑해도 이것이 없는 인간은 오스카 와일드가 말한 대로 ”현명한 악마“로 전락하기 쉽습니다. 1933년 아돌프 히틀러에게 과반수 투표로 정권을 넘겨준 사람들은 바로 그 시대 최고의 엘리트들인 의사, 변호사, 철학자, 심리학자, 언론인, 작가, 장교, 고급 관료들로서, 7가지 지성을 골고루 갖추고 있던 이들이 대부분이었습니다. 그러나, 그들에겐 선과 악을 구별하고, 하나님의

마음으로 사람들을 품어주는 영적인 지성이 결여되어 있었습니다. 그래서 그들의 예리한 지성은 악을 실현시키는 잔인한 도구로 잘못 사용된 것입니다.

지성 또한 하나의 강력한 힘인데 힘은 방향성을 잘 잡아야 합니다. 정말 정의롭고 아름다운 일, 힘들고 약한 이웃을 돕는 일, 하나님의 나라를 확장시키는 선한 일에 쓰여져야 합니다. 모든 지성의 방향성을 잡아주는 것이 영적인 지성인데, 이것은 학원 보내서 얻어지는 게 아니고, 어릴 때부터 부모가 말씀과 기도, 삶의 모범으로 자녀를 양육함으로써만 얻어지는 것입니다. 세상 모든 지식을 다 머리에 담아 줘도 하나님을 아는 이 영적인 지성을 전수해 주지 못한다면, 그 아이는 악하고 이기적인 엘리트가 되어 다른 이들과 자기 자신을 오히려 망가뜨리는 존재로 전락할 수 있습니다.

사랑하는 여러분, 우리의 아이들에게 하나님께서 주신 7가지 지성의 프리즘을 발전시켜 주고, 동시에 그 프리즘 위에 하나님을 아는 영성을 올려놓아 줍시다.

세상에서 가장 지혜로왔다는 솔로몬왕의 잠언처럼 “하나님을 아는 것이 지혜와 명철의 근본”일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