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day:
12
yesterday:
242
Total:
1,004,170

[Health Section]

This Section is created to help anybody who is interested in health to obtain and share information.  We are constantly updating new information and looking for various ways to improve the site in order to accommodate your needs.  Your feedback and suggestions are very valuable.  Please visit us often to see what has changed. 

 

안구건조증 치료법

감사또감사 2014.09.06 17:10 Views : 687

안구건조증은 다른 말로 건안, 건성안, 또는 눈물마름증이라고도 합니다. 말 그대로 눈물이 부족해서 생기는 병인데요. 내몸이 나이가 들어서 눈물이 적게 생산되기도 하고, 복용하는 약물, 눈의 염증이나 손상, 류마치스 질환 등에 의해 합병되기도 하지만, 가장 흔한 원인은 과도한 긴장을 일으키는 몸맘의 예민함입니다.

여러분들, 공포영화를 볼 때나 불안을 경험할 때 입안이 바짝 말라 들어가는 것을 경험해 보셨을 것입니다. 침샘에서 필요한 만큼의 침이 분비되지 않는 것이지요. 사실 이때 눈물샘의 눈물도 덜 나오지만, 증세로 느낄 정도는 아니기 때문에 못 느낀 것뿐입니다.

현대인들의 불안과 공포는 이렇게 일시적이고 강한 것이 아니라, 매일 매일 크지 않은 것들이 만성적으로 내몸을 긴장하게 만듭니다. 긴장된 몸이 심한 상태를 우리는 예민한 몸맘이라 합니다. 같은 정도의 긴장 상황에서 남들에 비해 내몸이 더 민감하게 반응하는 것이지요.
인공눈물이나 연고보다 더 중요한 안구건조증 치료법
안구건조증은 이런 예민한 몸맘의 증세 중 하나일 뿐입니다. 눈물샘도 눈물을 많이 생산하지 않지만, 눈물이 적은데 대해 내몸이 느끼는 증상이 더 심한 것이 원인이지요. 단지 눈이 뻑뻑한 정도를 떠나서, 자주 따끔하거나 화끈거리고, 모래알이 들어간 것 같이 느껴지기도 하며, 눈이 쉬 피로하여 일상업무를 수행하기가 힘들어지기도 합니다.

원인을 해결하면 안구건조증도 완치할 수 있습니다. 일단, 증세 자체는 인공눈물과 눈물 안연고로 편하게 할 수가 있지요. 인공눈물은 활동하는 낮에 수시로 넣고, 눈물 안연고는 잠자리에 들기 전에 사용하면 됩니다. 이 외에도 눈에 자극이 되는 매연, 담배연기 등을 피하고, 바람을 피할 수 있는 안경을 사용하고, 실내 습도를 건조하지 않게 하는 것도 도움이 됩니다.

이렇게 증세를 경감시키면서, 예민한 몸맘을 둔감하게 만드는 것이 완치훈련입니다. 둔감훈련은 화내기, 할 말 다하기, 일부러 지저분하게 살기, 무안함 당하기, 욕 먹기, 싫은 사람 더 만나기, 굴욕 당하기 등인데 개인마다 다르기 때문에 각자가 예민한 부분을 더 중점적으로 훈련하면 됩니다.

둔감훈련에 더하여, 안구건조증은 치료되는 병이다라는 자신감과, 웬만한 증세는 그냥 내버려둔다는 무뎌짐으로 그 동안의 불안과 조바심을 대체하면, 안구건조증은 더 빨리 완치할 수 있습니다. 빠르면 2주, 늦어도 3개월 내에 말이지요.


[출처] 본 기사는 프리미엄조선에서 작성된 기사 입니다
No. Subject Date Views
130 에이즈 감염자 1000명 돌파…"입원치료 받을 곳 없어" 2014.11.30 354
129 대설에 한파…고령층 심근경색 등 건강 주의! 2014.12.05 233
128 맥박 빠른 남성, 사망위험 22% 높아 2014.12.06 311
127 치매 막는 '비타민 K' 어떤 음식에 많이 들어있나? 2014.12.08 603
126 꼭 필요한 한 가지 운동 2014.12.09 507
125 엄마 품의 기적, '캥거루 육아'로 미숙아 생존률 높인다 2014.12.13 291
124 꼭 알아야 할 유방암 상식 2014.12.15 390
123 [충전 여자의 아침] 비타민D 부족 심각…햇빛 쬐세요! 2014.12.18 607
122 극심한 편두통 스트레스, 이런 음악 들었더니 사라졌다? 2014.12.22 277
121 술 취한 한국…국민 3명 중 2명 “폭탄주 마신다” 2014.12.23 322
120 건강 위험 신호 8 2014.12.25 464
119 2014년 절대 잊어서는 안 될 건강이슈 네가지! 2014.12.29 367
118 “대상포진, 몸살 감기와 혼동하지 마세요” 2015.01.02 615
117 아직도 담배 피우십니까? 2015.01.04 314
116 ‘젊은 당뇨’ 10명 중 1명 당뇨망막증 2015.01.08 862
115 신발 깔창도 ‘웨어러블’…아이디어 톡톡 2015.01.08 376
114 [생활 현장] 꽉 끼는 ‘롱부츠’ 오래 신으면…건강 위협 2015.01.10 247
113 겨울철 ‘RS 바이러스’ 기승…영·유아 특히 조심해야 2015.01.11 285
112 ‘정력’이 떨어졌다면…당신의 뱃살이 문제! 2015.01.12 350
111 성인 3명 중 1명 ‘비타민 B2’ 섭취 부족 2015.01.16 376
110 [생활현장] 목도리 등 ‘세균 온상’…휴지통 보다 더 오염 2015.01.17 259
109 '날씨 탓' 겨울 우울증…산책이 효과 만점 2015.01.21 181
108 “하루에 8~9시간 앉아 있으면 운동해도 소용 없어” 2015.01.22 246
107 ‘혈관 노후’ 중장년층…겨울철 협심증 주의! 2015.01.25 168
106 “한국, 치매 환자가 가장 빨리 늘어날 국가” 2015.01.26 729
105 겨울철 슈퍼푸드 끝판왕…‘귤 시금치 고구마 무청’ 2015.01.26 178
104 ‘앉았다 일어났다’ 변형! 모든 다리 근육이 빵빵! 2015.01.26 1101
103 "심장병의 主犯, 삼겹살(포화지방)보다 설탕·밀가루(정제 탄수화물) 음식" 2015.01.27 355
102 ‘복부 비만’…한국인 조금만 살쪄도 당뇨 위험! 2015.02.01 214
101 일시 마비 무시했다간…‘마이크로 뇌출혈’ 위험 2015.02.02 17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