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근대소설 '나는 고양이로소이다' 의 화자는 고양이입니다. 실제 나쓰메 소세키가 길렀다는 메이지 시대를 살아간 그 고양이는 이름이 없었습니다. "이름도 아직 없지만… 평생 이 선생 집에서 이름 없는 고양이로 살 작정이다" 그저 가끔 '고양이' 라고 불렸을 뿐. 그러나 작가와 고양이는 서로 교감했던 모양입니다. 작품 속 고양이는 이렇게 중얼거리지요. "늘 태평하게 보이는 사람들도 마음속을 두드려 보면 어디에선가 슬픈 소리가 난다" 그런가 하면 반려견 훈련사 강형욱 씨는 이렇게 말합니다. "강아지의 말을 우리말로 번역하면 굉장히 스위트하다" "잘 다녀와. 기다릴게" "오늘 기분은 어때? 괜찮아?" "기분이 안 좋아? 같이 놀까?" 강아지를 키운다는 것은 이렇게 말하는 친구가 항상 곁에 있다는 것. 사람들이 동물을 사랑하는 이유는 그래서일 겁니다. 배가 고프면 배부를 만큼만 먹고 사랑을 주면 마음을 되돌려 주고 감추지 않은, 있는 그대로의 감정을 내보일 수 있는 인간과는 다른 생물. 사람은 배가 불러도 더 가지려 하고 사랑을 이용하거나 배신하기도 하며 욕망과 부끄러움을 뒤로 감추려 하는 존재들. 탄핵된 대통령이 청와대에 두고 나왔다는 진돗개 아홉 마리가 논란이 됐습니다. 사람들은 주인에게 버림받은 개들의 안위를 걱정했지요. 그런데… 개의 마음을 이렇게 풀이하는 이들도 있더군요. 마음을 주지 않았다면 그들 역시 마음을 주지 않았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들은 버림받은 게 아니라 처음부터 버림받은 적이 없었던 것인지도 모르겠다는 것. 개들은 오히려 주인인 듯 주인이 아니었던 누군가를 지금쯤 걱정하고 있는 건 아닐까… "자신의 코 높이를 스스로 알 수 없듯이 인간이 자신을 깨닫는 일이란 좀처럼 쉽지 않은 모양이다" 나쓰메 소세키가 길렀다던 그 고양이의 말처럼 자신이 누구인지조차 좀처럼 알기 힘든 사람들. 이제는 홀로 앉아 자신을 돌아보고 있을까? 아니면 그저 알아들을 수 없는 자신만의 언어로 또 다른 진실을 생각하고 있을까… 그 알 수 없는 언어를 생각하다 무심결에 집어든 반려견 훈련사 강형욱 씨의 책 제목. "당신은 개를 키우면 안 된다" 손석희의 16일자 앵커브리핑인데요.. 마음을 주지 않았다면 그들 역시 마음을 주지 않았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들은 버림받은 게 아니라 처음부터 버림받은 적이 없었던 것인지도 모르겠다는 것.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