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직 멀리 떨어져 있을 때, 그의 아버지가 그를 보고 불쌍히 여겨, 달려가 아들을 껴안고 입을 맞추었다
(누가복음 15:20).
비언어적 표현은 거짓을 말하지 않는다.
그것들은 너무 자동적이어서 우리 중 누구도 그것을 왜곡하는 법을 배우지 못한다.
그것들은 강력하다. 그 메시지는 말보다 더 큰 영향을 미친다.
예수님도 이를 표현하셨다.
그는 사람들을 노여움으로 바라보셨다. 그의 얼굴은 연민을 비췄다. 그는 한숨으로 소통하셨다.
우리 모두는 기쁨과 실망, 만족과 잘난 척, 당혹과 연민을 표현하기 위해 비언어적 표현을 끊임없이 사용한다.
다른 사람들은 우리의 말보다 비언어적 표현을 더 믿는다.
그리고 그럴 만도 하다. 왜냐하면 비언어적 소통이 가장 정확하기 때문이다.
미소, 찡그린 얼굴, 어깨를 으쓱하는 것, 눈썹을 치켜드는 것, 팔짱을 끼는 것, 팔을 뻗는 것, 허리에 손을 올리는 것—
옛 노래가 말하듯, “모든 작은 움직임에는 나름의 의미가 있다”!
당신의 비언어적 표현은 “내게 와, 너를 사랑해, 너를 가까이하고 싶어, 너를 받아들여”라고 말하는가? 아니면 “귀찮게 하지 마, 너를 가까이하고 싶지 않아, 너에게 위협을 느껴, 너를 용서하지 않아”라고 말하는가?
탐자 이야기 비유(누가복음 15:11-32)에서 아버지는 우리 각자에게 다른 사람을 받아들이고 다가가는 법을 보여주셨다.
그는 먼저 비언어적 표현으로 이를 실천하셨다.
방탕한 아들은 사실 아버지의 받아들임을 받을 자격이 없었다.
하지만 어느 날 아버지는 고개를 들어 집으로 터덜터덜 돌아오는 젊은이를 보았다.
아들이 용서를 구걸하기도 전에, 아버지는 일어나 그에게 달려가 더럽고 냄새 나는 방탕한 아들을 끌어안았다.
그는 아들을 받아들이고 사랑하며 말했다. “지금의 너를 그대로 받아들인다. 다시 돌아와 줘서 고맙다!”
지금 당신의 비언어적 표현과 말로 누군가를 당신의 삶으로 다시 환영해야 할 사람은 누구인가?
오늘 당신의 파트너에게 어떤 방식으로든 받아들임을 표현할 필요가 있는가?
우리 모두는 각자의 방식으로 탕자의 역할을 해왔다.
그리고 우리가 집으로 돌아올 때, 하나님은 우리에게 미소 지으셨다.
받아들임, 용서, 그리고 긍정이 필요한 이들에게 우리가 그보다 덜할 수 있을까?